
9월
3일 개막하는 키아프 서울 2025에서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이 진행된다. 한·일 양국의 큐레이터와 작가들이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시점에 한자리에 모여, ‘수집’과 ‘진열’이라는 예술의
근본적인 형식에 대해 새로운 시선을 제안한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Kiaf SEOUL은 현대미술의 가치 체계와 자본 체계가
충돌하고 얽히는 역동적인 플랫폼이다. 이곳에서 미술은 관조나 감상의 대상일 뿐 아니라 창작과 소유, 해석과 유통을 망라한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평가받고 재구성된다. 이러한
아트페어의 특수성을 반영한 특별전 《리버스 캐비닛》은 예술의 방법론이자 형식으로서의 '수집'과 '진열'을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 미술의 주요 담론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시해 온 한국의 윤율리 큐레이터(일민미술관
학예실장)와 전시를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는 일본의 이와타 토모야(Tomoya
Iwata) 큐레이터(The 5th Floor 디렉터)가
공동 기획했다. 참여 작가는 한국의 돈선필, 정금형, 염지혜, 오가영과 일본의 다케무라 케이(Kei Takemura), 다카하시 센(Sen Takahashi) 총 6인이다.
윤율리
큐레이터는 “미술사는 수집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고, 전시는
그것을 진열하는 형식이다. 그런 점에서 수집과 진열은 미술의 가장 근본적인 성질과 맞닿아 있다”라며 “Kiaf SEOUL은 다양한 미술계 참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기 다른 관점으로 미술의 가치를 형성해 나가는 매력이 있다. 이 안에서 모두가 일종의 공모자이자 협력자로
기능하며,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컬렉터-관객’이라는 전통적인
삼각 구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타
토모야 큐레이터는 “한국과 일본은 얼핏 보면 아주 다른 듯하지만 일정 부분 공유하는 문화적 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전시에 참여한 여섯 작가는 통상적인 아트페어에서는
쉽게 만나기 어려운 작가들로, ‘수집’이라는 행위를 통해
각자의 세계관을 드러낸다는 점이 주요 선정 기준이었다. 이들이 ‘수집과
진열’이라는 공통의 언어를 바탕으로 각자의 문화적 맥락을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하는지 주목해 주시기 바라며, 이를 통해 동시대 예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시의 의의를 밝혔다.
참여작가: 돈선필, 정금형, 염지혜, 오가영, 다케무라
케이(Kei Takemura), 다카하시 센(Sen
Takahas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