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ARKO)) 아르코미술관은 청년 작가, 기획자를 소개하는
공공프로그램 “2025 아르코데이”를 8월 26일부터 9월 7일까지 아르코미술관과 아르코예술극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미술축제의 일환으로 키아프, 프리즈 등 국제적
아트페어로 미술계 교류가 활발한 시기에 맞춰 국내외에 한국의 청년예술가들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아르코(ARKO) ‘2025 청년예술가도약지원사업’으로 선정된 작가와 기획자 27명은 2025 아르코데이에서 청년예술가의 미술적 상상력과 도전, 예술적 가능성을 선보인다.
2025 아르코데이의 키워드는 ‘긴
꼬리(The Long Tail)’이다. 80%의 비주류 다수가
상위 20%의 소수보다 큰 가치를 가진다는 ‘롱테일법칙’을 차용하였다. 미술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요즘, 기초예술의 토대를 지탱하고 건강한 예술생태계를 이루는 다양하고 잠재성 있는 예술의 가치를 보여준다.

2024 아르코데이 작가 프레젠테이션 사진 (지민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5 아르코데이의 하이라이트 ‘작가 프레젠테이션’은 시각예술분야 작가들이 공연 형식의 파격적
시도를 하며 큰 관심을 받은 기획으로 작년에 이어 9월 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진행된다. 작가들은 자신의 고유한 장르를 넘어 퍼포먼스 쇼케이스, 렉처 퍼포먼스, 스크리닝, 해프닝, 플래시몹 등의 형식을 선보인다.
이들이 그리는 이미지 속에서 동시대 한국 예술의 몽타주를 찾아보는 즐거움이 기대된다. 올해는 다양한 관점과 예술적 시도로 주목받고 있는 김상하, 김진주, 박아름빛, 박정연, 유승아, 홍은주, 이원정, 장영해, 황예지, 서민우 열 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아파랏/어스 신진영 프로듀서가 이들 작가들이 기존의 매체나 표현방식을
넘어 미술의 경계를 확장하는 파트너로 합류했다.

공연 후에는 2025 아르코데이에 참여한 예술가와 관람객을 이어주는
네트워킹 파티가 이어진다. 네 명의 여성 기획자로 구성된 로스트 에어(Lost Air)가 기획한 ‘캐주얼한 네트-워커를 위한 캐주얼한 산책’은 퍼포먼스형 파티로 네트워킹의 순간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경험을 선사한다.
아울러 8월 26일부터 9월 7일까지 아르코미술관 공간열림에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업을
선보이며 서로 교류 할 수 있는 거점 공간 ‘아티스트 라운지: 콘택트 피드’도 마련된다. 김그림, 김수화, 김재아&박현진, 송다슬, Sulme&Jae-Nder Fluid(강예술미&백재화), 신민준&강민아, 안벼리, 양지훈, 오조, 유미루, 윤대원, 윤혜정, 이정, 이해반, 이호수, 전다화, Kaliens(박민정&안예윤) 열일곱 작가(팀)의 리서치와
작업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