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ation view of “Pluto” ©Museumhead

뮤지엄헤드는 내년 1월 25일까지 김주리, 안경수 작가의 2인전 “무덤들”을 개최한다. 각각 회화와 조각 매체를 다루는 안경수와 김주리는 도시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죽음’과 ‘소멸하는 삶’을 지속적으로 주목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두 작가는 구체적인 ‘막’과 ‘물질’을 통해 무너지고 지워지는 일상 속 대상을 마주하게 한다.

전시 “Pluto”는 오늘날 죽음을 배제하고 외면하는 도시의 모순을 떠올리며, 전시 안에 ‘무덤’을 자처하는 장면을 가설한다. 막, 칸, 물질, 부피로 들어선 이 장면을 통해 죽음의 일상성, 삶의 유한성을 함께 사고하길 제안한다.

Installation view of “Pluto” ©Museumhead

흙의 작용을 일종의 은유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는 장소의 죽음과 생명력을 드러냈던 김주리(b. 1980)는 이번 전시에서 같은 재료를 가마에 굽거나 단단하게 다지고, 또 주형하는 등의 방식을 선보인다.

작가는 생명과 죽음, 기억과 망각의 경계를, 또 이전의 소멸과 흔적을 다시 물질화하듯 형체를 고정하고 모종의 영속성을 끌어낸다. 이 과정은 단순한 조형의 완성을 넘어 치열한 몸과 의식의 개입을 동반하고, 시간과 물질, 기억과 망각은 더욱 선명한 지속 안에 교차한다.

Installation view of “Pluto” ©Museumhead

한편 이번 전시에서 안경수(b. 1975)는 어떤 장면/대상을 ‘다시 그린다’. 여기서 ‘다시 그리기’는 단순히 지우기나 덮어쓰기가 아니라, 잔존하는 기록을 다시 새기는 행위에 가깝다. 보광동 재개발 지역을 꾸준히 기록하며 회화로 옮겨온 작가는 전시장 한쪽 벽에 또 다른 공간, 보광동의 어느 “유치원과 화원”을 들여온다.

두 작가의 작품들은 사라짐을 재인식하며 자기 내외부의 존재들과 그 소멸을 되짚어 보도록 한다. 전시에서 ‘무덤’은 생물학적인 죽음이라기보다 ‘살아있는 죽음’, ‘죽어있는 삶’의 역설을 중재하는 장소다. 그것은 죽음을 거부하고 은폐하는 도시의 논리 대신, 오늘의 궁핍을 초과하는 공간으로 자리한다.